본문 바로가기
EocTrans人/Aqua鏈

산과 염기의 정의! 변화과정

by Insight LooM 2025. 3. 31.
반응형

우리 주변에는 산성과 염기성(알칼리성) 물질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레몬즙과 식초는 산성이며, 비누와 베이킹소다는 염기성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단순히 pH 값만으로 산과 염기를 구분하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 넓은 범위를 설명할 수 있도록 개념이 확장되었죠.

오늘은 아레니우스 → 브뤤스테드.로리 → 루이스로 발전해온 산과 염기의 정의를 알아보겠습니다.


1. 산과 염기성이란 (pH 개념)

pH는 H+(수소이온)의 농도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 H+가 많으면 산성 (pH 낮음)
  • OH-가 많으면 염기성 (pH 높음)

하지만 pH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산과 염기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과학작들은 여러 가지 이론을 통해 산과 염기의 개념을 확장해 왔습니다.

2025.03.12 - [EocTrans人/Aqua鏈] - 신맛! 수소이온과 pH

 

신맛! 수소이온과 pH

레몬을 한 입 베어 물면 저절로 입이 오므라 들죠?탄산음료를 마시면 상쾌한 신맛이 느껴지고요. 그런데 왜 어떤 음식은 더 시고, 어떤 음식은 덜 신 걸까요?그 비밀은 바로 수소이온(H+)과 pH에

nanaloom502.tistory.com


2. 아레니우스의 정의 (1884년)

"물속에서 H+ 또는 OH-를 내놓느냐가 중요"

스웨덴 과학자 아레니우스(Svante Arrhenius)는 산과 염기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 산(Acid) : 물에서 H+(수소이온)을 내놓는 물질  (예 : HCL → H+ + Cl-)
  • 염기(Base) : 물에서 OH-(수산화이온)을 내놓는 물질 (예 : NaOH  → Na+ + OH-)

아레니우스 이론의 한계

  • 반응이 반드시물(H2O) 속에서 일어나야 함 → 수용액이 아닌 경우 설명 불가
  • OH-가 없는 염기(NH3 등)는 설명할 수 없음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더 발전된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3. 브뢴스테드-로리의 정의 (1923년)

"H+(양성자)를 주고받는 것이 핵심"

덴마크의 브뢴스테드(Johannes Brønsted)와 영국의 로리(Thomas Lowry)는 산과 염기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 산(Acid) : H⁺(양성자)를 주는 물질
  • 염기(Base) : H⁺(양성자)를 받는 물질

NH3(암모나아) 문제 해결!

아레니우스 정의로는 NH3가 염기인지 설명할 수 없었지만, 브뤤스테드-로리 개념에서는 설명이 가능합니다.

 

  • H₂O(물)이 H⁺를 주는 역할 →
  • NH₃(암모니아)가 H⁺를 받는 역할 → 염기

즉, 물이 H+를 내놓아 NH3 가 받으면 염기 역할을 한다는 것이죠

브뤤스테드-로리 이론의 장점

  • 수용액이 아니어도 적용 가능 → 더 다양한 반응 설명 가능
  • OH⁻ 없이도 염기를 정의 가능
  • 짝산-짝염기 개념 추가 (산이 H⁺를 내놓으면 짝염기가 되고, 염기가 H⁺를 받으면 짝산이 됨)

하지만 여전히 설명할 수 없는 산과 염기가 있었습니다.


4. 루이스의 정의 (1923년)

"H+(양성자)가 아니라, 전자쌍을 주고받는 걸로 보자"

같은 해, 미국 화학자 길버트 루이스(Gilbert N. Lewis)는 산과 염기를 더 일반적인 개념으로 확정했습니다.

  • 산(Acid): 전자쌍을 받는 물질
  • 염기(Base): 전자쌍을 주는 물질

H+가 없어도 산과 염기 설명 가능!

 

  • BF₃는 전자쌍이 부족해서 받으려 함 → 루이스 산
  • NH₃는 전자쌍을 제공함 → 루이스 염기

아레니우스 : H⁺와 OH⁻로 설명 (기본적인 pH 개념)
브뢴스테드-로리 : H⁺의 이동으로 더 많은 반응을 설명
루이스 : 전자쌍 개념을 도입해 모든 산-염기 반응을 설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