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흔적이야기/사회,지식+

헌법재판소법 제2절 탄핵심판, 그리고 제51조

by Insight LooM 2024. 12. 16.
반응형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법 제2절은 탄핵심판에 대한 규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탄핵심판은 국가의 고위 공직자가 헌법이나 법률을 위반했을 때, 이를 심판하여 공직에서 파면할 수 있는 헌법적 절차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탄핵심판의 법적 근거, 절차, 그리고 그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탄핵심판의 법적 근거

헌법 제65조

대한민국 헌법 제65조에 따르면,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 등 고위 공직자가 헌법이나 법률을 위반했을 경우 국회는 탄핵소추를 의결할 수 있습니다.

제65조 ①대통령ㆍ국무총리ㆍ국무위원ㆍ행정각부의 장ㆍ헌법재판소 재판관ㆍ법관ㆍ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ㆍ감사원장ㆍ감사위원 기타 법률이 정한 공무원이 그 직무집행에 있어서 헌법이나 법률을 위배한 때에는 국회는 탄핵의 소추를 의결할 수 있다.
②제1항의 탄핵소추는 국회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가 있어야 하며, 그 의결은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다만,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는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발의와 국회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헌법재판소법 제2절

헌법재판소법 제2절은 탄핵심판의 구체적인 절차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 탄핵심판은 헌법재판소가 전적으로 담당하며, 국회의 탄핵소추 의결 후 본격적으로 심판이 시작됩니다.
  • 심판 결과에 따라 해당 공직자의 파면 여부가 결정됩니다.

2. 탄핵심판의 대상

탄핵심판은 다음과 같은 공직자들이 헌법과 법률을 위반했을 경우 적용됩니다:

  •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위원
  • 행정각부의 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 법관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 감사원장
  • 감사위원
  • 기타 법률이 정하는 공무원

3. 탄핵심판 절차

3.1 탄핵소추 의결

가. 국회의 탄핵소추 발의

  • 국회의원이 발의하며, 대통령의 경우 국회 재적의원 2/3 이상의 찬성이 필요합니다.

나. 탄핵소추 의결

  • 국회 본회의에서 탄핵소추가 의결되면 해당 공직자는 즉시 직무가 정지됩니다.

3.2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가. 심판 청구

  • 국회가 의결한 탄핵소추를 헌법재판소에 청구합니다.

나. 심리 과정

  • 헌법재판소는 증거 조사, 당사자 심문 등을 통해 사건을 심리합니다.
  • 공정성을 위해 재판관 9명 중 6명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탄핵이 인용됩니다.

다. 결정 및 선고

  • 헌법재판소는 탄핵심판의 최종 결정을 내리고, 파면 여부를 확정합니다.

4. 탄핵심판의 효과

4.1 파면 결정

  • 탄핵심판이 인용되면 해당 공직자는 즉시 파면되며, 파면된 공직자는 5년간 공직에 취임할 수 없습니다.

4.2 기각 결정

  • 탄핵이 기각되면 해당 공직자는 즉시 직무에 복귀합니다.

5. 탄핵심판의 주요 사례

5.1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

  • 국회의 탄핵소추 의결 후 헌법재판소는 탄핵을 기각하였고, 노무현 대통령은 직무에 복귀했습니다.

5.2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 국회의 탄핵소추 의결 후 헌법재판소는 탄핵을 인용하여 박근혜 대통령은 파면되었습니다. 이는 헌정 사상 최초의 대통령 파면 사례였습니다.

제2절 탄핵심판

제48조(탄핵소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무원이 그 직무집행에서 헌법이나 법률을 위반한 경우에는 국회는 헌법 및 「국회법」에 따라 탄핵의 소추를 의결할 수 있다.
1.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 및 행정각부(行政各部)의 장
2. 헌법재판소 재판관, 법관 및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3. 감사원장 및 감사위원
4. 그 밖에 법률에서 정한 공무원
제49조(소추위원) ① 탄핵심판에서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위원장이 소추위원이 된다.
② 소추위원은 헌법재판소에 소추의결서의 정본을 제출하여 탄핵심판을 청구하며, 심판의 변론에서 피청구인을 신문할 수 있다.
제50조(권한 행사의 정지) 
탄핵소추의 의결을 받은 사람은 헌법재판소의 심판이 있을 때까지 그 권한 행사가 정지된다.
제51조(심판절차의 정지) 
피청구인에 대한 탄핵심판 청구와 동일한 사유로 형사소송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재판부는 심판절차를 정지할 수 있다.
제52조(당사자의 불출석) ① 당사자가 변론기일에 출석하지 아니하면 다시 기일을 정하여야 한다.
② 다시 정한 기일에도 당사자가 출석하지 아니하면 그의 출석 없이 심리할 수 있다.
제53조(결정의 내용) ① 탄핵심판 청구가 이유 있는 경우에는 헌법재판소는 피청구인을 해당 공직에서 파면하는 결정을 선고한다.
② 피청구인이 결정 선고 전에 해당 공직에서 파면되었을 때에는 헌법재판소는 심판청구를 기각하여야 한다.
제54조(결정의 효력) ① 탄핵결정은 피청구인의 민사상 또는 형사상의 책임을 면제하지 아니한다.
② 탄핵결정에 의하여 파면된 사람은 결정 선고가 있은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하면 공무원이 될 수 없다.

 

6. 제51조 심판절차의 정지

6.1 적용 조건

  • 탄핵심판 청구: 탄핵심판은 헌법재판소에서 공직자의 헌법 또는 법률 위반 행위를 이유로 그 공직자를 직위에서 파면할지를 심사하는 절차입니다.
  • 형사소송: 탄핵심판 청구와 동일한 사유, 즉 동일한 사실관계에 근거하여 해당 공직자에 대해 형사소송이 진행 중인 경우를 말합니다.

6.2 재판부의 권한

  • 탄핵심판 청구와 관련된 형사소송이 진행 중일 때, 헌법재판소 재판부는 심판절차를 정지할 수 있는 재량권을 가집니다.
  • 이는 반드시 정지해야 한다는 의무가 아니라, 심판부가 사건의 경과와 필요성에 따라 판단할 수 있는 선택적 권한입니다.

6.3 적용

  • 실질적으로 이 조항은 형사소송의 진행이 탄핵심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한해 적용됩니다.
  • 반대로, 형사소송이 탄핵심판의 결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심판절차가 정지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