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소이온3

산과 염기의 정의! 변화과정 우리 주변에는 산성과 염기성(알칼리성) 물질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레몬즙과 식초는 산성이며, 비누와 베이킹소다는 염기성입니다.하지만 과학자들은 단순히 pH 값만으로 산과 염기를 구분하지 않았습니다.시간이 지나면서 더 넓은 범위를 설명할 수 있도록 개념이 확장되었죠.오늘은 아레니우스 → 브뤤스테드.로리 → 루이스로 발전해온 산과 염기의 정의를 알아보겠습니다.1. 산과 염기성이란 (pH 개념)pH는 H+(수소이온)의 농도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H+가 많으면 산성 (pH 낮음)OH-가 많으면 염기성 (pH 높음)하지만 pH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산과 염기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과학작들은 여러 가지 이론을 통해 산과 염기의 개념을 확장해 왔습니다.2025.03.12 - [EocTrans人/Aqua鏈] - 신맛.. 2025. 3. 31.
신맛! 수소이온과 pH 레몬을 한 입 베어 물면 저절로 입이 오므라 들죠?탄산음료를 마시면 상쾌한 신맛이 느껴지고요. 그런데 왜 어떤 음식은 더 시고, 어떤 음식은 덜 신 걸까요?그 비밀은 바로 수소이온(H+)과 pH에 있습니다!신맛과 수소이온(H+), 무슨 관계일까?신맛을 내는 음식들은 대부분 산(acid)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산성 용액에는 수소이온(H+)이 많이 들어 있는데, 수소이온이 많을수록 더 강한 신맛을 느끼게 됩니다.수소이온이 많다는 것은 pH가 낮다는 것과 같고요예를 들어 레몬즙(pH 약 2.0)은 아주 신데, 그 이유는 바로 구연산이 많아서 수소이온이 많이 나오기 때문입니다.pH가 낮을수록 더 신 이유음식의 신맛은 pH 값고 관련이 깊습니다. pH는 0에서 14까지의 숫자로 표현되는데0에 가까울수록 강한 산성.. 2025. 3. 12.
물의 이온곱 상수와 온도 : pH 변화 물의 이온곱 상수 (Kw​)는 물이 스스로 이온화하여 수소 이온 (H+)과 수산화 이온 (OH−)을 생성하는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값은 온도에 따라 변하며, 표준용액의 pH 값 변화의 핵심 원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Kw​가 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며, 이로 인해 표준 pH 값이 달라지는 이유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1. 물의 이온곱 상수물을 단순한 액체로 생각하기 쉽지만, 물은 다음과 같이 자동 이온화라는 흥미로운 반응을 일으킵니다.이 반응에서 생성된 H+와 OH−의 농도를 곱한 값이 바로 이온곱 상수 (Kw)입니다:25°C에서는 Kw=10^−14이고, 이때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 농도는 각각 10^−7이므로 중성의 pH는 7.0이 됩니다.2. 온도에 따른 Kw 변화 물의 이온화 반응.. 2024. 11. 30.
반응형